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부분 모르고 있는 일반의와 전문의 차이

by 드로우리치 2022. 4. 10.
반응형

병원에 들어가지 않고 간판만 보고도 일반의와 전문의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병원과 의원 용어 정리부터 해보겠습니다.

병원과 의원 차이

병원과 의원 차이는 규모 차이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

  • 의원: 병상 수 30개 미만
  • 병원: 병상 수 30개 이상

일반의 과정 / 전문의 과정

일반의

의대를 졸업 후에 국가고시를 합격하면 일반의가 됩니다.

즉 일반의는 어떤 병원이든 개원이 가능합니다만 전문의의 타이틀을 가지고 개업을 할 수 없습니다.

전문의

일반의에서 인턴 1년과 레지던트 4년의 과정을 거치고 전문의 시험까지 합격해야지 전문의가 됩니다.

그리고 일반의와 다르게 전문의가 되기 위해 특정과 선택은 자신이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아닌 성적순으로 정해집니다.

 

일반의, 전문의 간판 구분 방법

의료법 시행규칙 제40~42조

전문의만 의원 앞에 본인의 전문 과목 표시 가능합니다.

일반의 의원 앞에 진료과목을 쓸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A병원: OOO 성형외과 의원: 전문의가 있는 병원
B병원: OOO 의원 (진료과목: 성형외과): 일반의가 있는 병원
C병원: OOO 성형외과 의원 (진료과목: 성형외과, 피부과): 성형외과 전문의 동시에 피부과도 진료를 봄

 

반응형

댓글